안동김씨(安東金氏)에 대한 개괄적 소개

 

하   유(河   游) : 생졸 미상

 

 

문정공 시원(恃源)의 손자이며 문과에 급제하여 통정대부로 부윤(府尹)을 지낸 윤구(允丘)의 아들이다. 자(字), 호(號)와 생졸(生卒) 연월일(年月日) 등 공에 관한 자세한 행적은 전해지지 않고 다만 진양부원군 신도비 음기에 검교(檢校) 한성윤(漢城尹)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보첩(譜牒)에는 문과에 급제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고 검교(檢校) 한성(漢城) 판윤(判尹)을 지냈다고 하였고, 원당지(元堂誌)에는 수곡 원당에 거주했다고 하였다. 공의 후손들을 판윤공파(判尹公派)라고 하며, 또 수곡면 사곡리(싹실)에서 문세(門勢)가 크게 신장(伸張)되었으므로 흔히 싹실 하씨(河氏)라고 일컬었다.

 

가선대부 한성판윤 하공 묘표(嘉善大夫漢城判尹河公墓表)

 

공(公)의 휘(諱)는 유(游)이고 성(姓)은 하씨(河氏)이다. 고려(高麗) 충절신(忠節臣)으로 공부시랑(工部侍郎)에 증직(贈職)된 공진(拱辰)의 후손(後孫)이다.

 

조선초(朝鮮初)에 벼슬이 가선대부(嘉善大夫) 한성판윤(漢城判尹)으로 일찍이 종형(從兄) 문충공(文忠公) 륜(崙)과 함께 집안일을 다스린 일이 백부(伯父)인 판서(判書) 증영의정(贈領議政) 진양부원군(晉陽府院君) 윤린(允潾) 비문에 실려 있어 살펴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행적(行蹟)과 자(字)·호(號) 졸년일(卒年日) 등은 모두 알 수 없다. 심지어(甚至於) 어머니 성씨(姓氏)와 본관(本貫) 또한 고증(考證)할 바가 없다. 이는 당시 보법(譜法)이 아직 세워지지 않았기 때문이고, 비록 보법(譜法)이 세워진 뒤에라도 수화(水火)와 병란(兵亂)을 당하여 왕왕(往往)이 문헌이 사라져 없어지니, 문헌상으로 징빙(徵憑)할 수 없음이 다른 사람에게도 없지 않으니 어찌 공에게만 있는 일이겠는가?

 

증조부(曾祖父) 식(湜)은 선관서승(膳官署丞)으로 판사평부사(判司評府事) 진강군(晉康君)에 추증(追贈)되었고, 조부(祖父) 시원(恃源)은 증직(贈職)이 우의정(右議政) 판병조사(判兵曹事) 진강부원군(晉康府院君)이며 시호(諡號)가 문정공(文貞公)이다. 부(父) 윤구(允丘)는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통정대부(通政大夫) 부윤(府尹)을 지냈다.

 

공(公)의 묘(墓)는 수곡면(水谷面) 대천리(大泉里) 사방동(沙芳洞) 가평(加坪) 자좌(子坐) 언덕에 있다. 현부인(縣夫人)은 진주정씨(晉州鄭氏) 부정(副正) 부(富)의 따님인데 합폄(合窆)이다.

 

현부인(縣夫人)이 네 아들을 두니 장남(長男) 지혼(之混)은 가선대부(嘉善大夫) 한성소윤(漢城少尹)이고, 차남(次男) 지돈(之沌)은 진사(進士)로 연산부사(延山府使)이며, 삼남(三男) 지명(之溟)은 진사(進士)로 초계군수(草溪郡守)이고, 사남(四男) 지행(之涬)은 풍저창(豊儲昌) 주부(主簿)이다. 지혼(之混)과 지행(之涬)은 후손이 없고, 지돈(之沌)의 아들은 영(濚)인데 일명(一名) 징(澄)으로 흥양현감(興陽縣監)이며 지금 자손들이 함양(咸陽), 창원(昌原), 진천(鎭川) 등지에 흩어져 거주한다. 지명(之溟)의 큰아들 현(現)은 진사(進士)로 사온서직장(司醞署直長)이며 자손(子孫)들이 지금 수곡(水谷)의 사곡(士谷)에 거주하며, 둘째아들 비(備)는 부사직(副司直)으로 자손들이 지금 밀양(密陽)과 진주(晉州)에 거주한다. 셋째 저(著)는 벼슬하지 않았고 자손들이 지금 사천(泗川)에 거주한다.

 

현(現)으로부터 5대를 내려와 환성재(喚醒齋) 락(洛)과 각재(覺齋) 항(沆)은 함께 남명(南冥) 문하(門下)에 종유(從遊)하였으며 이름 높은 제자이다. 특히 환성재(喚醒齋)는 선조(宣祖) 임진란(壬辰亂)때 상주(尙州) 우거(寓居)에서 목사(牧使)의 부름을 받아 입성(入城)하던 도중에 적(賊)을 만나 아들 경휘(鏡輝)와 함께 순절(殉節)하였다. 그 종형(從兄)의 아들 송정(松亭) 수일(受一)이 각재(覺齋)에게서 남명(南冥)의 학문을 전수(傳受)하여 하 겸재(河謙齋) 홍도(弘度)에게 전(傳)해 주었다. 비(備)의 아들 구천(遘千)은 김 점필재(金佔畢齋) 종직(宗直)과 도의(道義)로 사귀었고, 치천(値千)의 손자 종악(宗岳)은 남명(南冥) 조 선생(曺先生)의 문인(文人)이다.

이일해(李一海)가 삼가 찬(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