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김씨(安東金氏)에 대한 개괄적 소개

 

하필명(河必明)  1783년(正祖 7) ~ 1841년(憲宗 7)

 

자(字)는 찬중(粲仲)이요, 증공조참의 활(活)의 11세손이며 할아버지는 한윤(漢潤)이고 성원(聖源)의 아들이다.

벼슬은 증사헌부 감찰이고 아들 석문(錫文)이 귀하게 되어 증가선대부 호조참판에 가자(加資)되었다. 1872 고종 9년에 효행으로 정려(旌閭)를 하사받았다.

 

배위는 증정부인(贈貞夫人) 단양우씨(丹陽禹氏) 정원(廷元)의 따님으로 1남 1녀를 두었으니 수직(壽職)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오른 석문(錫文)과 나주인(羅州人) 임제억(林悌憶)이다.

 

정려기(旌閭記)

 

대저 효는 천리의 자연이요 인기(人紀)의 당연함이다. 자연으로 당연을 행함에 참으로 가르침을 기다리지 않아도 마땅히 그 사람이면 이에 능하리니 어찌 반드시 포양해야 하겠는가? 세상이 말세 되고 풍속이 무너져 사람들이 그 성품을 다하지 못하고 형체에 얽매이니 이른바 자연이라는 것은 날마다 침체되고 당연한 것은 날마다 쇠퇴하였다. 만약 격려하여 일세를 도야(陶冶)하자고 한다면 포양(襃揚)의 은전을 또한 어찌 그만둘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옛날 철왕(哲王)들은 항상 이에 급급하여 조금도 소홀하지 않았다. 그렇다면 한문공(韓文公)의 우인대(雩人對)는 통론이 아니라 대개 격려하여 이를 분발시킨 것인가? 가만히 생각건대, 우리 조선은 성신(聖神)이 상승(相承)하여 효리의 교화가 사방으로 넘쳐흐르고, 무릇 일선일행(一善一行)에도 반드시 이를 표창하여 정려가 우뚝이 서로 마주하니, 요순시대에 집집마다 봉(封)했다는 고사를 다시 보겠기에 참으로 성대하다. 증 감찰 하공 휘 필명(必明)은 그 선조가 진양인으로 어릴 때부터 사친의 도를 알았으니 이는 천성이 그리 하였다. 군아(郡兒)로 더불어 놀 때에도 진중하여 망언하지 않았으며 과일을 얻으면 먼저 먹지 아니하고 반드시 품에 지니고 돌아왔다. 점점 자람에 조석으로 대립(待立)하여 안색이 화기로웠고, 부모가 병이 나면 근심으로 밖으로 드러나 옷을 벗지 않았으며 밤에는 반드시 향을 피워 하늘에 빌었다. 가난이 심하여 약물을 자력으로 마련하지 못함에 이웃들이 그 효성을 가상히 여겨 의연금(義損金)을 내어 도왔다. 상을 당해서는 곡읍(哭泣)이 슬프고 상식이 정성스러워 쇠약한 몸으로 슬퍼함이 삼 년 동안 한결 같았으며 매월 성묘하여 비록 한추위 한더위에도 고생스럽게 여기지 않았고 폐하지 않았다. 조년에 드디어 과거를 그만두고 돌아와서 향리의 자제들을 가르쳤으며 사람을 대하여 이야기가 그 부모에게 미치면 반드시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임종에 그 아들에게 말하기를 나를 친산 곁에 묻어야 눈을 감을 것이다 하였으나 묘역이 협소하여 천광을 마련할 여지가 없었다. 하루는 어떤 사람이 모처를 가리키며 장사할만하다고 하였는데 친묘와 백보도 떨어지지 않았으니 이에 장사하는 이들이 이르기를 공의 정령이 사후에도 없어지지 않았다고 하였다. 이는 그 확연히 빛나는 한두 가지 대략이다. 경오년에 도백(道伯)이 유림의 호소를 근거하여 조정에 알리자 특별히 통훈대부 사헌부 감찰을 추증 하고 임신년에 또 정려를 명했다.

 

공과 같은 이는 자연으로 당연을 행했다고 할 수 있으며 조가의 포양한 은전 또한 지극했다. 공의 효행은 내가 영남 도백(道伯)으로 있을 때 들어 익히 알았으나 일찍이 조정에 알리지 못해 한스러웠다. 이제 은명을 받음이 때마침 내가 이조에 있을 때이니 현회의 지속은 대개 때가 있는 것이라 내 또한 다행이라 여긴다. 그 아들 진사 석문(錫文)이 말하기를 ‘내 나이 70세에 살아갈 날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재물이 비록 없으나 지금 빨리 도모하지 않으면 선친의 미적을 드러낼 수 없고 임금의 사은을 기릴 수 없다.’하고 곧 선대 정려 서편에 몇 칸 집을 건립하여 공역을 마쳤다. 그 아들 진사(進士) 재구(在九)가 경사로 달려와 나에게 기문을 청하니 그 아들과 손자의 선조 받드는 정성을 또한 마땅히 기록하지 않을 수 없다. 서경에 이르기를 효자는 다함이 없으니 길이 동류를 낳으리라 하였으니 이를 이른 것이다. 마을을 지나는 이는 반드시 감응(感應)하고 엄숙히 공경을 더 할 것이다.

숭록대부 행이조판서 안동인 김세균(金世均) 지(識)